기독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조절 효과
Moderating Effect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Suicidal Ideation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26권 제4호
-
2015.11243 - 273 (31 pages)
- 93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자살생각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지를 살펴보고,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여 추후 기독 대학생에 대한 개입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H대학교 신입생 중 기독 학생 6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살생각, 대인관계 문제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대인관계 문제와 자살생각 또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사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 문제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기독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자살생각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가 조절 효과를 나타내어 스마트폰 중독이 심한 기독 대학생이 대인관계 문제를 경험할 때 자살생각을 많이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독 대학생의 자살 예방을 위해서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의 필요성과 함께, 교회와 학교를 비롯한 기독 공동체의 공동체성을 강화하여 대인관계 문제를 경감시키고 사회적 지지체계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smart phone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 and suicidal ideation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the data was gathered from 627 freshman students. The survey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martphone addiction, suicidal ide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Smart phone addiction predicted suicidal ideation significantly. In addition, interpersonal conflict made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needs differentiated intervention according as smartphone addiction level in order to prevent suicide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us, it needs to develop the programs to relieve Christia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s and enhance social support network by consolidating Christian community such as church and school.
기독대학생;스마트폰 중독;자살생각;대인관계문제;조절효과;Christian college students;suicidal ideation;smartphone addiction;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moderating effect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