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선교사의 상담추구 의도 예측 모형

Prediction Model of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for Missionary

  • 104
160617.jpg

본 연구는 선교사 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계획적 행동 이론을 적용하여 선교사들의 상담추구 의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계획적 행동 이론은 행동 의도를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통제력만으로 충분히 예측할 수 있으며, 특정한 상황에서의 특정 행동에 대한 예측은 행동의도와 행동 통제력만으로 충분하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상담추구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스트레스를 상담추구의 선행요건으로 지적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계획적 행동 이론을 확장하여 스트레스를 추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년 이상 해외 선교 경험이 있는 선교사 166명으로, 상담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통제력, 스트레스, 상담추구 의도, 상담 경험 및 만족도, 선교사 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 상담 받기 원하는 상담자의 특성을 묻는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리서치 결과 연구모형은 상담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통제력, 스트레스가 상담추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잘 설명하지 못하였다. 모형수정 과정을 거쳐 상담에 대한 태도와 스트레스가 상담추구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주관적 규범 및 행동 통제력은 상담에 대한 태도를 통해 상담추구 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수정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선정되었다.

This research tried to statistically verifying a predicting model of missionaries’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his research model was test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participants were 166 missionaries who have been missionary works abroad for more than a year. They were filled in a self–report questionnaire; attitude toward seeking counseling, subjective norms, behavioral control, stress,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and about their counsel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search model did not fit the data.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modification model and testing it with SEM the modified model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Modified model showed that attitude toward seeking counseling and stress significantly predict the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and subjective norms and control of behavior were fully mediated by attitudes toward seeking counseling.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