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17.jpg
KCI등재 학술저널

성폭력 피해 후유증 경험 연구

The Case Study of Experience in After Effects of Sexual Assault

  • 191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후유증으로 고통하는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기독교상담적 돌봄을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했다. 질적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초기 애착유형, 가족과의 관계와 부모의 부부갈등, 형제차별 등과 같은 양육환경은 성폭력 트라우마와 치료 과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성폭력 피해자들은 가족들과 도움을 제공하는 전문가들이 성폭력 피해 후유증의 증상에 집중하는 것으로 인해 성폭력 피해 경험을 이해받지 못한다고 느꼈다. 힘의 관계적 역학구조 속에서 피해자들의 성폭력 트라우마는 수용되지 못한 상태로 방치되다가심리·정신증상들로 표출되면서, 피해자들은 심리·정신증 환자의 취급을 받는 것으로 느끼게 되어 약물치료에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 힘에 의해 침묵된 목소리가파편화되어 이미지로 나타난 성폭력 트라우마의 기억의 이야기는 성폭력 피해자가좀 더 주도적으로 인도되며 성폭력 트라우마에 대한 내적 감수성이 어떻게 증상으로 표출되는지와 관련된 정서가 안전하게 경험될 때 치유를 향하여 나아갔다. 성폭력 피해 후유증의 종교적 대처는 회피와 의존의 수동적인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문제를 종교적인 차원에서 평가하고 적극적으로 해결하는 대처전략의 하나이며, 성폭력 피해의 모호성을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이해하고 결핍된 자기이해와 치유로나아가는 창조적 돌봄의 중요한 통로가 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pastoral–counseling care to the victims of sexual assault who have suffered from sexual assault without receiving appropriate post–trauma treatment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growth environment such as attachment type, child to parent relationship, marriage, discrimination among siblings is an important aspect in sexual assault and curing process. Sexual trauma under the force of social structure was ignored and left on; when it reveals it self as a psychological symptom, the participants felt misunderstood regarding their assaults, felt as if they were treated as mental patients, showed negative attitude against drug treatments. Sexual assault narrative which was suppressed to be silent and scattered into piece of images headed toward healing by letting the victim lead the narrative they focus on how the tragedy was perceived and expressed through the victim’s emotion. The religious coping of sexual assault should not be considered as a method of avoiding or being dependent but as a substitute strategy toward healing where the victims can understand the ambiguity of sexual assault effects and the lacks of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relationship of God.

Ⅰ. 서론

Ⅱ. 성폭력 피해 후유증의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