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애착안정성·자아존중감·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the Group Play Therapy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Self–Esteem, and the Sociality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26권 제3호
- : KCI등재
- 2015.08
- 199 - 227 (29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애착안정성, 자아존중감,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30명이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 중15명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15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회에 90분 동안 진행하였으며, 매주1회씩 총10회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사전·사후검사에서 애착, 자아존중감, 사회성에 대한 질문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서 애착이 안정적으로 변하였으며 또한 아버지, 어머니, 또래에 대한 신뢰와 의사소통 점수가 높아지고 소외감은 낮아졌다. 둘째,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아졌으며 하위영역인 자기존중이 높아지고, 타인과의 관계가 원만하였다. 셋째,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에서 사회성이 좋아졌으며 하위영역인 사회성 회피와 불안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atisfaction effect of stable attachment, self–esteem and sociality promotion of the elementary children who experienced anxiety in the social situation with the help of the group play therapy.)5 ones of them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other15 were placed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play therapy was done to the subject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group play therapy made it possible to facilitate the catharsis for the stable attachment, self–esteem and social adaptation through the effect o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ttachment stability and social enhanc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oup play therapy makes it possible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anxiety, anger and depression in the social relation to promote the self–esteem and positive self–representation and the more group play therap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acticed in the futur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