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20.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화 경험을 한 목회자 자녀의 대인관계 특성 연구

A study on pastor’s kids with parentification experience: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 99

본 연구는 부모화 경험을 한 목회자 자녀들의 대인관계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목회 자 자녀의 ‘부모화 경험’ 현상과 그들의 ‘대인관계 특성의 본질 및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통해목회자자녀와그가정을위한상담과사역의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한 다. 이를 위해 부모화 경험을 한 목회자 자녀 8명을 대상으로)차에 걸친 심층인터 뷰를 실시하여 그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부 모화 경험을 한 목회자 자녀의 대인관계는 ‘드러나는 대인관계 특성’과 ‘숨어 있는 대인관계 특성’이라는 이중성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역할이라는 무 거운 짐을 진 채 약한 나를 감추며 사는 목회자 자녀들의 관계 역동을 발견하였다. 그들의 역할 중심의 대인관계 패턴은 교회와 가정으로부터 경험한 소외와 거절에 대한 두려움과 관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하나님과 배우자, 교회 공동체, 상담을 통 한 무조건적 수용경험이 그들의 핵심 신념을 변화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치유경험을 통해 목회자 자녀들은 부모를 수용하고 상생적 관계 패턴이 형성되며 자신의 삶에 대해 감사하게 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helping pastor’s kids and their families through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lations of the pastor’s kids who’ve experienced parentification. The eight persons of adult–pastor’s kids with experience of parentification participated on in–depth interview. In order to analyze all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pastor’s kids who had experienced parentification had no emotionally reliableadults.Secondlytheessentialphenomenonofpastors kids’ parentification experience seems to be ‘self–losing life for taking care of parents’. Thirdly, the interpersonal characteristic of pastor’s kids with parentification was ‘to live with a heavy burden and to mask weak self.’ A belief in conditional acceptance was a deep–rooted belief among them.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