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22.jpg
KCI등재 학술저널

30대 기독인 여성의 결혼여정에 대한 사례연구

Two Christian women’s marital journey from psychosocial perspectives

  • 42

급변하고 있는 한국의 사회문화적 변화 속에서 자라난 30대 초반의 두 기독교 기혼 여성의 삶의 여정을 통하여, 이들의 결혼에 대한 기대와 태도가 어떻게 형성되고 결혼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생애전반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내러티브 분석(narrative analysis)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두 사례 중 첫번째 여성은 아동 초기에, 두 번째 여성은 성인 초기에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두 사람 모두 종교에 대한 깊은 관여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이들이 기독교 신앙을 결혼생활에 적용하는 방식은 달랐다. 연구결과는 개인이 결혼에 대한 기대와 태도를 형성해 가는 데 있어서 그들의 어린 시절 가족역동, 삶의 사건들, 사회문화적 배경, 영적 사건들, 교회의 가르침 등 다양한 요소들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두 사람은 모두 어린 시절 이미 형성된 자기개념에 기초하여 문화적, 영적 경험을 자신의 결혼관에 통합해 나아갔다. 신앙적 발달 단계 역시 이들의 결혼관에 영향을 미쳤다. 교회 중심으로 얻어진 모범적 여성의 이미지와 신세대 문화 중심으로 얻어진 사랑받아 행복한 여성의 이미지를 통합해가는 것은 이들 결혼생활의 중요한 과제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독교 상담적 적용을 논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and describes how two Korean Christian women in her 30s have developed their marital expectations in their life journey. The data was gathe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at covered the participants’ whole life span. Narrative analysis was utilized to organize and analyze their stories from multiple layers of dimensions such as psychological dynamics, family background, socio–cultural contexts, and spiritual events. The main results included: although both of them indicated deep commitment to their Christian beliefs, their applications of their beliefs into their marital views and marital maintenance were dynamically complicated by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their early family dynamics, socialization process, spiritual experience, and church teachings. Applications for Christian counseling and pastoral care were discussed.

Ⅰ. 들어가는 말

Ⅱ. 연구방법

Ⅲ. 사례분석

Ⅳ. 논의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