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 기독교인의 원가족 경험이 가족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of Married Christians on Family Functioning: With Spiritual Maturity as a Parameter Variable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25권 제1호
- : KCI등재
- 2014.02
- 157 - 195 (39 pages)
본 연구는 기독교인만의 특권인 영적 성숙도가 목회상담적 가족돌봄과 치료에서 폭넓게 모색되고 적용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으로 기혼 기독교인들의 결혼 전 원가족 경험과 결혼 후 가족기능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영적 성숙도라는 매개변인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경로2,2, 3의 직접경로는 부분매개모형에서 원가족 경험이 가족기능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원가족 경험이 건강하고 긍정적일수록 건강한 가족기능성을 보였다. 아울러 원가족 경험은 영적 성숙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고, 영적 성숙도는 가족기능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경로 4의 간접경로에서, 원가족 경험이 건강할수록 높은 영적 성숙도를 보였고, 영적 성숙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성도 건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원가족 경험이 영적 성숙도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가족기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 경로가 설명하는 효과는 .022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유의도 수준 5%에서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직, 간접효과를 합하여 의미 있는 전체효과를 보여 영적 성숙도가 원가족 경험과 가족기능성을 매개하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영적 성숙도는 목회적 가족돌봄과 상담에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중요한 시사점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idespread benefits, cares, and therapies of pastoral counseling for family members in order to overcome vulnerability.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looks o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ried member’s family of origin experience before marriage and present family functioning after marriage and analyzes the impact of spiritual maturity as parameter in the correlation. The healthier ‘family of origin experience’ is, the higher ‘spiritual maturity’ is and the higher ‘spiritual maturity’ is, the better ‘family functioning’ is likewise. Through ‘spiritual maturity’ as parameter it shows that ‘family of origin experience’ has an indirect impact on ‘family functioning,’ and the indirect effect this channel explains shows the number .022. This channel agrees on statis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of the meaningful total effect, ‘spiritual maturity’ can be seen as mediating ‘family of origin experience’ and ‘family functioning.’
Ⅰ. 서론
Ⅱ. 이론에 대한 이해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