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626.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별과 목회적 돌봄

관계적 체계 모델

  • 16

본 논문은 사별한 유가족에 대한 돌봄을 교회가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목회적 돌봄을 위해 Graham의 체계적 접근의 다섯 가지 변화의 목표—상황적 손상에서 상황적 통합으로, 힘의 불균형에서 공동적 힘의 분배로, 파괴적 가치 갈등으로부터 동조적 가치 정향으로, 손상된 창조성에서 생명력 있는 창조성으로, 교류적 곤경에서 교류적 효율로—를 기초로 대상관계적 이론의 개념을 사용하여 ‘목회적 돌봄을 받아야 할 영역’과 ‘목회적 돌봄의 영역’이 만나는 중간영역을 치유가 일어나는 ‘목회치유적 놀이의 공간’으로 보았다. 이러한 놀이의 공간에서 개인, 가족, 교회체계의 변화의 목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관계적 체계 모델로 제시하고 사례에 적용시켰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theoretical model of pastoral care for bereaved Christia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egrates object relation theory with the five goals of change according to Graham’s systemic approach from contextual impairment to contextual integration, from power imbalance to synergistic power arrangement, from destructive value conflict to synchronized value orientations, from vitiated creativity to vital creativity, from transactional impasses to transac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is approach, transitional area where the area requiring pastoral care adjoins the area of pastoral care is defined as the area of pastoral healing play. In this area of play, the goals of changes of individuals, families, and churches are accomplished. To this end, relational system model is proposed and applied to this case.

Ⅰ. 서론

Ⅱ. 사별과 슬픔의 과정

Ⅲ. 사례제시 및 방법론적 접근

Ⅳ. ‘관계적 체계 모델’로서의 목회적 돌봄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