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교적 이종혼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고찰
Understanding Interreligious Marriage Issues From a Christian Counseling Perspective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제24권 제1호
- : KCI등재
- 2013.02
- 97 - 122 (26 pages)
대부분의 기독교 교회에서는 기독교인들 간 결혼을 할 것을 가르치고 장려한다(본논문에서 기독교는 개신교를 지칭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상당수의 기독교인들이 종교적 배경이 다른 사람과 데이트를 하거나 결혼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종교적 이종혼(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사이의 결혼)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살펴보고,종교적 이종혼이 종교적 동종혼(기독교인과 기독교인 사이의 결혼)과 비교해 볼 때부부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심리학적 실증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토대로 성경적 관점과 심리학적 관점을 통합하여 목회 상담과 기독교 상담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종교적 이종혼이 종교적 동종혼에 비해 부부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적이종혼이 의미 중에는 종교활동 공유의 제약이 있는데, 이는 결혼에 대한 신념과가치의 공유를 제한하고 나아가 부부 간 종교적 대처와 사회적 지지 체계의 차이를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교 상담을 하는 상담자가 타종교인과의 결혼을 고려하는 기독교 내담자를 상담할 때 상담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Most Protestant churches tend to teach and encourage marriage in the same faith. In reality, however, a great number of Christians(i.e., Protestants) date or marry those who are from a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 This paper examines religious heterogamy(marriage between a Christian and non-Christian) from a biblical perspectiv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heterogamy and marital quality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Based on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biblical and psychological findings, the discussion of how the Christian counseling should approach the interreligious marriage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religious heterogamy have a greater possibility of negative impact on martial relationship than religious homogamy. When a couple have different religious backgrounds, they have limited opportunities in sharing religious activities, which further creates discrepancies in marital beliefs, religious coping, and social support system. Christian counselors are expected to benefit from utilizing these results when seeing a Christian client who considers religious heterogamy.
Ⅰ. 들어가는 말
Ⅱ. 종교적 이종혼에 대한 성경적 가르침
Ⅲ. 종교적 이종혼에 대한 심리학적 발견
Ⅳ. 통합적 이해와 상담적 제언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