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기독교상담 모델의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한 관점비교와 통합 방향

Christian counseling model’s perspective on self & self-pathology and its integration

  • 320
160630.jpg

본 연구의 목적은 Johnson과 김용태의 저서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기독교상담 모델을 비교하면서, 각 기독교상담 모델의 관점에서 자기심리학의 중심 주제인 자기와 자기병리에 대하여 고찰하며 자기심리학과 기독교의 적절한 통합 방향을 찾는 것이다. 즉 ‘자기’의 의미와 일반적인 병리를 각 기독교상담 모델에서 어떻게 이해하며 접근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주로 자기심리학에서 다루는 자기의 개념과 비교하며 고찰한다. 자기병리 중에서는 자기심리학에서 주로 다루었던 자기애의 문제에 좀 더 초점을 모은다. 또한 논점에 따라서 성경심리와 평행심리 모델을 양 극단으로 두고, 기독교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재건심리 모델을 합쳐서 통합적 모델로 취하는 입장을 취하고자 한다. 자기심리학에서 제기되는 자기개념을 기독교상담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인간의 자기(self)를 하나님의 대행자(agent)라고 규정하고, 이러한 인간관위에서 기독교상담학이 세워져야 함을 피력한다. 자기심리학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기독교신학에 비추어 비평하고 검토함은 기독교심리 모델이나 재건심리 모델, 변형적 심리 모델 등에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통합의 필요 요소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된 후, 임상실재나 인간이해에 도움이 되는 제반 개념들은 평행심리 모델의 입장에서 받아들이는 통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We compar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introduced by Johnson and Kim and try to find an optional approach for the integration of Christianity and self psychology via considering main concepts of self psychology, which are self and self-pathology. The five views are Biblical counseling, Christian psychology model, transformational psychology, integration model, and a levels-of-explanation (parallel) model. Dealing some specific topics, we name the three models as integrational models for a convenience. Analyzing the concept of self in the perspectives of self psychology and the five Christian counseling models, we address that human self is the agent of God and this is the human perspective on which Christian counseling theory shall be established on. When integrating sel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we first scrutinize and translate foundational concepts which are not consistent with Christianity, and then correlate its many practical and clinical concepts of self psychology.

Ⅰ. 들어가는 말

Ⅱ. 다섯 가지 기독교상담 모델

Ⅲ. 기독교상담과 자기심리학의 통합 모델의 제안:자기대상과 자기병리를 중심으로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