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46.jpg
KCI등재 학술저널

독거노인의 개인적 활동과 사회적 참여의 기능적 장애

Functional Disability of Person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 63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독거노인의 개인적 활동의 기능적 장애와 더불어 사회적 참여의 기능적 장애를 살펴보기 위해 IC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모델 기반으로 가설적 모형을 검정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중 독거노인 2,552명의 2차 자료로 기능적 장애 모형 검정을 실시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독거노인의 개인적 활동의 기능적 장애는 일상생활 수행 능력의 장애정도로 판단하고, 사회적 참여의 기능적 장애는 4가지 사회활동의 참여빈도 제한으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IBM Statistics Program 23 소프트웨어와 MPlus 7.0 프로그램으로 주성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독거노인의 개인적 활동의 기능적 장애를 확인한 결과, 연구자의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하고 각 지표변수가 상응하는 요인과 충분한 관계가 있어 하나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주성분분석을 통해 독거노인의 사회적 참여의 기능적 장애를 확인한 결과, 연구자가 설정한 4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사회적 참여의 기능적 장애가 하나의 주성분으로 추출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기능적 장애를 ICF 모델 기반으로 개인적 활동뿐만 아니라 사회적 참여 측면에서 모형을 설정하여 독거노인의 자료에 의도했던 각 요인이 단일 차원으로 존재함을 구조적으로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unctional disability of person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Korean adults living alone based on ICF model. Methods :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utilized to assess the factor structure an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functional disability of person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Results :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functional disability of personal activities, one factor structure was validated (χ2=1303.437, p<.001, CFI=.975, TLI=.971, RMSEA=.063, 90% CI=.060-.066). Cronbach’s alpha was .86. Functional disability of social participation was validated by using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scores=0.498-0.672). Conclusion : The functional disability of persona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show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as one factor.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