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825.jpg
KCI등재 학술저널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인지기능의 관계에서 인지 예비능의 매개역할

Social Exclu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Reserve

  • 237

목적 : 노인이 살아오면서 경험하는 누적된 불평등은 인지기능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인지 예비능은 사회문화적 경험으로 형성&#8901;변화되는 특징이 있으며, 인지기능 유지 및 악화 방지를 위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배제와 인지기능의 관계를 확인하고, 두 변수사이에 작용하는 인지 예비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7차 기본조사 자료와 직업력 특별조사 자료를 활용한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사회적 배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직접 효과 및 인지 예비능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R lavaan 패키지를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최종 분석에는 4,122명의 자료가 사용되었고, 분석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6.01(SD=7.36)세였다. 경로분석 결과, 사회적 배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직접효과(B=-.421, p<.001), 인지 예비능의 부분 매개효과(B=-.006, p<.01)를 확인하였다. 결론 :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 노인의 인지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사회적 불평등 요소의 개선 및 노년기여가활동 참여를 통한 인지 예비능의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및 예방적 개입이 필요하다.

목적 : 노인이 살아오면서 경험하는 누적된 불평등은 인지기능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인지 예비능은 사회문화적 경험으로 형성&#8901;변화되는 특징이 있으며, 인지기능 유지 및 악화 방지를 위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배제와 인지기능의 관계를 확인하고, 두 변수사이에 작용하는 인지 예비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7차 기본조사 자료와 직업력 특별조사 자료를 활용한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사회적 배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직접 효과 및 인지 예비능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R lavaan 패키지를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최종 분석에는 4,122명의 자료가 사용되었고, 분석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6.01(SD=7.36)세였다. 경로분석 결과, 사회적 배제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직접효과(B=-.421, p<.001), 인지 예비능의 부분 매개효과(B=-.006, p<.01)를 확인하였다. 결론 :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 노인의 인지기능을 보호하기 위해 사회적 불평등 요소의 개선 및 노년기여가활동 참여를 통한 인지 예비능의 향상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및 예방적 개입이 필요하다.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