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825.jpg
KCI등재 학술저널

보건소 근무 작업치료사의 지역사회 관련 교육 및 지식 수준 조사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Knowledge Statu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Public Health Center

  • 49

목적 : 보건소에 근무하는 지역사회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작업치료 관련 교육 이수 현황 및 지식 보유 수준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 작업치료 관련 업무 수행을 위한 질 향상과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보건소 근무 작업치료사들의 교육 및 지식 수준과 전문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체 개발한 설문지를 전국의 보건소 소속 작업치료사들에게 이메일을 통해 배포하였으며, 최종 77부의 설문지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 응답자들은 지역사회 작업치료 수행에 있어 지속적 교육과 근거중심 치료가 중요하다고 하였으나, 학부 교육을 포함한 관련 교육의 기회가 적다고 응답하였다. 지역사회 작업치료를 위한 전문가적 자질인 자문, 교육, 상담, 지역사회 자원 활용 등에 대한 추가적인 심화교육 과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보건소 근무 작업치료사들의 지역사회 작업치료 관련 교육과 지식 수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였다. 응답자들은 지역사회 작업치료 영역에서 학교에서의 기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변화되는 지역사회 환경에 맞는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질 유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더불어 지역사회 전문가적 자질에 대한 심화 교육의 요구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지역사회 작업치료사들의 요구도를 반영한 전문적이고 심화된 다양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related knowledge and education level regarding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and to collect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quality and developing related education programs. Methods : A total of 77 e-mailed responses from community-based OTs were analyzed. Results : Respondents believed that continuing advanced education and evidence-based treatment is very important. The chance of receiving education (including college) was not enough. Additional advanced education on counseling, education, consultation, and the use of community resources is essential. Conclusion : The status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related knowledge and education level was identified. Additional advanced education based on basic college education is needed to keep track of current changing situations and environments. In particular, education on professional expertise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y is importan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