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가족지지를 독립변수로, 성취동기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진로결정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 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자는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 579명과 여학생 596명 총 1,175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2.0,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는 성취동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와 자아존중감은 진로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청소년의 가족지지와 진로결정성의 관계에서 성취동기와 자아존중감의 병렬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진로결정성 향상을 위하여 가족지지, 성취동기와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개인 및 집단을 대상으로 한 상시 프로그램 운영과 부모와 조부모 대상의 가족발달주기에 따른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다문화 수용능력을 높여 나가는 실천적인 정책적 지원체계와 전략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motivation for achievement,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making among youths from multicultural fami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ight year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from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 total sample of 1,175 participants (n = 579 high school second-year male student; n = 596 female students) were included in data analysis. 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Amos 25.0 statistical program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support influenced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and self-esteem. Second,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influenced self-esteem. Third,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and self-esteem had an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Fourth, there were parallel an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various programs designed to promote family support, achievement motivation, and self-esteem, and practical policy strategies, with the goals to better inform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for youths from multicultural family
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