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금연상담사의 학교 밖 청소년 흡연 문제에 대한 개입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전국 17개의 지역금연지원센터의 금연상담사 중 1년 이상의 상담 경력과 200회 이상의 금연상담 경험이 있는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대상의 특수성과 연구주제가 초보적 단계임을 고려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주요 결과는 금연상담사의 흡연 문제 개입방법, 효과적으로 인식하는 개입방법, 장애 요인 3개의 영역과 6개의 범주에 따른 18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금연상담사의 학교 밖 청소년 흡연 문제 개입에 대해 처음 시도된 연구라는 점에서 학교 밖 청소년 금연 상담을 효율적으로 이끌어나가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의 상담이론들을 금연상담 관점에서 검증하고 정교화 시키는데 실제적인 근거가 된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for adolescent smoking off campu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eight counselors who had a year or more year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200 or more smoking cessation sessions across 17 regional smoking cessation clinic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derived from the three areas;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effective recognition intervention, and obstacles to ceasing smoking, Sixteen subcategories were also derived from six categorie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terventions on adolescents smoking off campus.
방법
결과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