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0974.jpg
KCI등재 학술저널

동양의 수도(修道)와 리터러시

Eastern Ascetic Practice and Literacy

  • 35

본고는 동양의 수도와 리터러시를 비교한다. 수도는 연마의 과정을 거쳐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이다. 리터러시 또한 자각을 통해 자아의 변화와 성숙을 이룬다. 리터러시는 읽고 이해하고 쓰는 능력이지만 의미를 조금 더 확장해서 정의하면 보다 성숙한 자아로의 이행이라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둘은 비교의 대상이 된다. 수도와 리터러시는 내면의 자각이라는 전제 아래 자아의 변환, 자유의 확대, 주체성의 회복, 타인을 향한 실천으로 유사한 결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는 차이와 한계를 지님도 간과할 수 없다. 수도가 언어를 넘어서는 수행을 강조한다면 리터러시는 언어와 이성, 합리성을 도구로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수도와 리터러시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고찰은 양자를 보다 면밀히 볼 수 있게 해준다. 수도와 리터러시를 조화롭게 실행하면 보다 깊은 내면의 성숙을 가져올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ascetic practice and literacy. The ascetic practice is the process of attaining enlightenment through the process of cultivating. Literacy also achieves self-change and maturation through awareness. Literacy is the ability to read, comprehend, and write, but if the meaning is defined a little more broadly, it has the aspect of transition to a more mature self. In this respect, the two are subject to comparison. Under the premise of inner awareness, ascetic practice and literacy can be seen to bring similar results as like as self-transformation, expansion of freedom, restoration of subjectivity, and practice of mercy. Despite the similarities, both have differences and limitations that cannot be overlooked. If the ascetic practice emphasizes performance beyond language, the difference is that literacy uses language, reason, and rationality as tools. However, examin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scetic practice and literacy allows us to look at both more closely. A harmonious practice of ascetic practice and literacy can lead to a deeper inner maturity.

Ⅰ. 서 론

Ⅱ. 동양의 수도

Ⅲ. 동양의 수도와 리터러시

Ⅳ. 결 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