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학부모 역할 증가와 민주적 교육발전의 길 그리고 학부모 학문전략 - 교육시민에 대한 지원 전략 -

Increasing parental roles, the path to democratic educational development, and academic strategies for better parental roles - Support strategies for education citizens -

  • 240

본고는 학부모의 교육시민적 역할 강화를 위한 전략을 논의한다. 이 논의는 후기관료주의시대에 학부모역할 증가가 시대적 흐름일 뿐만 아니라 향후 민주적 교육발전의 길로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교육의 상대적 낙후성 문제로 학부모의 불신과 불만은 높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학부모는 비난 받고, 소외되는 ‘존재감 없음’의 상태에 처해 있다. 존재감 없음의 상태는 학부모를 피동적으로 ‘말해지는 존재’로 남겨지게 만들고, 나아가 학부모가 주체적 역할을 정상적으로 할 수가 없게 한다. 이에 대한 심층원인을 학부모의 ‘낮은 담론적 지위’로 진단하고 그 대응 전략을 2가지로 논의한다. 리브랜딩과 학문전략이다. 먼저 인정투쟁을 위한 리브랜딩으로 ‘학부모 즉 교육시민’을 제안하고, 그 장점을 논의한다. 둘째로 학부모 학문전략은 크게 ➀ 학부모를 새롭게 질문하고 바로알기: 가치재산정, ② 리브랜딩을 통한 인정투쟁과 학부모의 존재감 확보 ③ 학부모 적대적 교육문화에 대한 분석과 저항 ④ 학부모 입장에서 교육보기와 ‘말하는 학부모’로의 전환 등 4가지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학부모 학문전략은 단순히 학부모 역할강화를 추구하는 것이 이상의 확장적 의미가 있다. 지속가능한 민주적 교육발전 모형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과 정부는 교원과 학부모 사이에서 중립을 유지하면서 중재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This paper discusses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parents educational civic roles. This discussion is significant because the increase in the parental role in the post-bureaucratic era is not only a trend of the times, but is also connected to the path of future democratic education development.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despite the high level of distrust and dissatisfaction among parents due to the relative backwardness of education, parents are in a state of non-existence , where they are criticized and marginalized. The state of non-existence leaves parents passively spoken beings , and furthermore, the parents are unable to play an active role normally. The in-depth cause of this is diagnosed as the low discursive status of parents , and the counter strategy is discussed in two ways: rebranding and academic strategy. First, as a rebranding for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parents, that is, educational citizens’ are proposed and the merits are discussed. Second, the academic strategies for parents are largely ➀ Asking parents anew and getting to know them rightly: reevaluating the value of parents, ② Struggle for recognition through rebranding and securing the significance of parents ③ Analysis and resistance to the hostile culture towards parents ④ Viewing education from a parent’s point of view and the transition to a speaking parent . The academic strategies for parents have expanded meanings beyond simply pursuing the reinforcement of parental roles. They emphasize that they are pursuing a sustainable and democratic educational development model an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lay a mediating role while maintaining neutrality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Ⅰ. 사회의 변화와 학부모 역할의 증가

II. 학부모에 관한 교육담론의 상황과 문제제기 : 학부모의 낮은 위상과 낮은 담론적 지위의 연계성

Ⅲ. 학부모에 대한 학문전략과 4대 과제

Ⅳ. 학부모 입장에서 교육보기의 예시

Ⅴ. 나가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