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의 출현과 재맥락화: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ergence and recontextualization of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in Korea: From Korea s liberation to the 1960s

  • 65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은 해방 이후 미국으로부터 교육평가 관련 지식, 기법, 담론이 빠르게 이식되는 과정에서 제도화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의 초기 제도화를 중심으로, 서구의 교육평가 담론이 누구에 의해 어떻게 도입되었고,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당시 한국적 상황에서 어떻게 재맥락화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석적 역사사회학 방법을 활용하여 교육평가 담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에서 교육평가학은 해방 이후 문화적 헤게모니의 재편과 교육학의 분화 과정에서 정범모로 대표되는 미국 유학 출신의 교육평가 전문가들이 미국으로부터 교육평가 관련 지식들, 기법들, 담론들을 번역하고 이식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것이었다. 둘째, 해방 이후 출현한 교육평가 담론은 Tyler식 평가 개념과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교육평가의 정체성을 규정함과 동시에 실증주의 및 합리주의에 기초한 기술적 지식과 과학적 측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평가 담론과 측정 담론의 병존에 따라 교육평가학 내부에 담론적 긴장이 발생하였다. 셋째, 해방 이후 출현한 교육평가 담론은 당시 한국의 담론적, 사회적 조건들과 실천들 속에서 재맥락화된 것이었다. 이에 따라 교육평가 개념의 외연은 확장된 반면 Tyler식 평가 개념이 내포하고 있던 함의는 축소되었고, 교육평가의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목적보다는 선발과 관리 목적이 부각되었으며, 가치들 간의 갈등의 문제가 소거되고 차별과 불평등의 문제가 정당화되는 방식으로 교육평가의 탈정치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천의 괴리, 평가 목적들 간의 긴장과 갈등 등 현재 교육평가의 문제들이 과거부터 유사한 방식으로 반복되고 변주되어 온 역사-사회적 문제라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o introduced the Western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how it was constructed, and how it was recontextualized, focusing on the initial institutionalization of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from Korea s liberation to the 1960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was analyzed using a historical sociology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was emerged by educational evaluation experts from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reflecting the reorganization of cultural hegemony. Second, the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defined the identity of educational evaluation centering on Tyler-style evaluation concept and theory,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chnical knowledge and scientific measurement based on positivism and rationalism. And due to the coexistence of evaluation discourse and measurement discourse, discursive tensions arose within academic texts on educational evaluation. Finally, the academic discourse on educational evaluation was recontextualized in Korea s historical-social context at the time. As a result, the extension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concept was expanded, while the intension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concept was changed, and the purposes of selection and management were highlighted rather than the purpose of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and educational evaluation was depoliticized in a way that eliminated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values and justified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problems of educational evaluation, such as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al evaluation, the tensions and conflicts between evaluation purposes, have been repeated in a similar way since the past.

Ⅰ. 서론

Ⅱ. 교육평가학이라는 학문적 영토의 출현

Ⅲ. 번역과 이식을 통한 교육평가 담론의 구성

Ⅳ. 교육평가 담론의 재맥락화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