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푸드아트테라피(FAT)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ood Art Therapy (FAT) program on the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 21

본 연구의 목적은 푸드아트테라피(Food Art Therapy, 이하 FAT)가 농촌지역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W군에 소재한 S중학교 학생들에게 프로그램 내용과 진행절차에 대하여 공고하고, 학부모동의를 거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치하였다. 사전검사를 실시 한 후 2020년 6월 23일부터 10월 28일까지 주1회 90분씩 총 8회기 푸드아트테라피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의 학생들은 프로그램 실시 기간 동안 교내 동아리활동인 체육, 음악, 취미활동 등의 다른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사후검사는 본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2020년 11월4일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효능감 사전-사후 검사결과에 대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학생 행동 관찰내용과 학생의 소감문 내용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실험집단은 자기효능감의 하위 척도 중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학생 행동관찰 내용과 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인 부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n self-efficacy, after applying a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Food Art Therapy (FAT),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To this end, guidance announcements and explanations were made to S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W-Gun about the program s contents and progress. Twenty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fter obtained parental consent. After conducting the pre-test, a food art therapy program consisting of eight sessions was administer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90 minutes once a week from June 23 to October 28, 2020.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other programs such as physical education, music, and hobbies, which are club activities on campus during the program implementation period. The post-test was done on November 4, 2020 after the program was over. The t-test was performed on the pre-and post-test results of the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 teacher s observations of students behavior and students testimony were organi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s in both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among the subscales of self-efficacy. In the analysis of the teacher s observation of students behavior and students testimony,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aspects. Based on this study s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