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민속놀이수업의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D대학의 교양과목 중 민속놀이수업 참여자 97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민속놀이수업에 대한 의미탐색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활동소감 쓰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 외 강의평가 서술형 문항에 기록되어 있는 평가내용 또한 참고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가 생각하는 민속놀이수업에 대한 의미는 크게 ‘소통하며 즐기는 수업’, ‘역사와 전통을 알 수 있는 수업’으로 나누어졌다. 그밖에 ‘부모가 되었을 때 아이와 함께 민속놀이를 하고 싶다’, ‘우리의 전통놀이를 잘 보존하면서 새롭고 재미있게 발전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학습자의 의견을 통해 ‘보존’과 ‘발전’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전통문화 교육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상에서도 민속놀이의 즐거움과 교육적 가치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사실들을 염두에 두고 민속놀이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대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민속놀이 프로그램들이 개발·적용되길 제안하는 바이다. 끝으로 본 연구는 민속놀이의 지속발전을 위한 방향성 제시에 있어 기초자료로서의 가치가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s of folk play course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 semester, targeting total 97 participants in folk play course of liberal arts courses of D university. The meanings of folk play course were explor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the learners and writing opinions about activities. Besides them, this study also referred to the contents of evaluation recorded in descriptive items of lecture evaluation, and also conducted interviews with some students who showed a voluntary will to participate as necessary.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anings of folk play course perceived by the learners were largely divided into ‘Course that is enjoyed through communication’ and ‘Course that teaches the history and tradition’Besides them, the learners’ opinions like ‘I like to do folk plays with my children when I become a parent.’ and ‘It is important to preserve our traditional plays, and also to develop them newly and interestingly.’ imply the necessity of education and research on traditional culture in two aspects of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 and educational value of folk games can be derived online as well. Therefore, with these facts in mind, I hope that continuous research on folk games will be conducted. And I hope that various folk games for college students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ave value as a basic data in suggesting the direc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folk games.
I. 서론
II. 민속놀이의 개념 및 특징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