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tiation of Self and Family Functioning in Asian Countries
4개국(한국, 중국, 대만, 미국) 거주자들의 자아분화와 가족기능에 관한 비교 연구
- 김혜진(Kim, Hye Jin) 고메이(Ko, Mei Ju) 오제은(Oh, Jea Eun)
-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 부부가족상담연구
- 제2권 제2호
- 2021.12
- 69 - 89 (21 pages)
본 연구는 자아분화가 건강한 가족기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국과 한국, 대만 및 미국에 거주하는 685명의 개인들을 대상으로 자아분화와 가족기능, 가족의사소통과 가족만족도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ANCOVA와 MANCOVA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국가 그룹은 자아분화 수준에서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그룹에 관계없이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기능과 가족의사소통 및 가족만족도가 높은 수준이었고, 유의미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 적용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healthy family functioning among 685 individuals residing in China, South Korea,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An ANCOVA analysis showed that the four country group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mean scores in their levels of differentiation of self. A MANCOVA analysi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differentiation of self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family functioning, family communication, and family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different country groups.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Literature Review
Method
Results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