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학술저널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on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100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I시의 S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 중 일반아동 16명을 각 8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주 1회, 90분씩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아동의 창의적 인성을 측정을 위해 한국교육개발원(2011)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용 창의적 인성 검사 도구를 사용한 결과로 양적 분석하였으며,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단계 및 회기별 결과로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양적 분석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창의적 인성 하위요인 호기심, 과제집착, 독립성, 위험 감수, 사고의 개방성, 심미성 모두 사후 점수가 향상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질적 분석 결과는 동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초기 단계보다 종결 단계에서 작품 활동 시 적극적 관찰 및 자기표현이 나타났다. 회기가 더해질수록 실패 할 가능성이 있어도 도전하는 태도와 작품의 아름다움에 대한 언어적 표현 및 새로운 활동 및 관계에 대한 수용의 태도가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on the creative personality of children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o this end, 16 of the 1st and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S-gu and I-si were indiscriminate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control groups. From May to August 2018, a weekly-90 minute-12 sessions of learning time were provided. In order to measure children s creative personality, quantitative research using the Creative Personality Scale (CPS) develop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was conducted, and qualitative analysis using collective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was conduc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curiosity, occupational coercion, independence, risk-taking, thinking openness, and aesthetics scores were increased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ctive observational attitudes and expressions were found when making works in the final stage, not in the initial stage of the group art therapy using fairy tales. As the sessions continued, the attitude of challenging even if there was a possibility of failure, expressing the beauty of the work in words, and accepting new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improved.

방법

결과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