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이탈여성의 생애사 재구성
Reconstruction of Life History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 Exodus from Self-Reliance(Juche) Ideology to the Illusion of Capitalism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 제11권 제2호
- : KCI등재
- 2017.10
- 5 - 30 (26 pages)
본 연구에서는 1명의 북한 이탈여성의 심층 면접을 통해 북한 이탈과 남한 입국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탈북의 동기들과 탈북 과정과 남한 정착 과정에서 나타난 삶의 경험을 개인의 생애사와 사회구조적 맥락 안에서 그 구조를 볼 수 있는 Rosenthal이 고안한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북한 여성의 삶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Schütze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의 방법에 따라 2017년 2월, 경기도 D시에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우세적 주제는 [나의 삶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사회경제적 조건에 의해서 끊임없이 삶의 기반을 박탈당하고 구석으로 몰리는 삶]과 [북한에서 모든 희망을 내려놓고 남한으로 탈출하여 결혼을 통해서 생활 안정을 꿈꾸고자 한 전략이 좌절된 삶]이다.그리고 주변적 주제는 이러한 주제가 형성된 배경으로서 작용하는 주제로서 [북한에서 국군 포로의 자녀라는 지위 때문에 음악가의 좌절된 삶], [자신의 출신성분을 탈피하기 위하여 당성을 인정받고 당원이 되고자 하였으나 역시 좌절된 삶], [남편과 결혼 후 아버지의 국군 포로 전력 때문에 남편의 당원 입당의 꿈이 좌절되어 불화한 가족생활], [남편의 사망 후 주변부에서 나락으로 떨어진 삶], [중국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존재, 남한에 정착한 후 남과 북 어디에도 속하지못하는 혼란스러운 정체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된 생애사의 서사구조가 되는 사례 구조는 ‘사상의 의미와 자본주의, 결혼, 남한에 대한 인식’ 의 차원에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탈북의 상품화, 둘째 남한의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이중성에 대한 논의, 셋째 남한사회에 갖는 양가감정에 대해 논의했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experience of a female North Korean who was escaped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the motives of her escape and experience of settlement in South Korea. Inaddition, I analyzed the experiences using by Rosental s narrative - life history interview analysis method which can se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s in context. To do so,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women in North Korea. Data collection was accomplished in D city, Gyeonggi on February 2017 based on the method of Schütze s life - historical narrative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in themes were My life was deprived by the socioeconomic condition regardless of my own will’ and A stable life from a marriage after fleeing North Korea with no hope to South Korea failed. Additionally, the peripheral themes which worked as the background of priority themes were ‘a desperate life which failed to become a musician because of a status having a father who had prisoned during Korean War’, ‘a frustrated life to fail becoming a party member to be out of her own class from birth’, ‘an unhappy family life after her husband’s failure to enter the party in North Korea’, ‘a poor life falling into the bottom after her husband’s death’, ‘an unprotected being in China’ and ‘. ‘a confused identity which means that she could not belong to either North Korea or South Korea’. Moreover, the case structure which wa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life story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meaning of the Ideology, capitalism, marriage and recognition of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rchandising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secondly, an argument of hypocrisy of capitalism’s economic system in South Korea, and the last, the ambivalence toward society of South Korea.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 분석
5. 결론과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