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240.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녀가 성소수자임을 받아들이게 된 엄마들의 이야기

A Story about Mothers Acceptance of their Children s Sexual Minority Identity: I ll Always Be By Your Side No

  • 20

본 연구의 과제는 “어머니가 자녀가 성소수자임을 받아들이게 되는 경험의 본질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하여 성소수자 자녀를 둔 6명의 어머니들에게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녀가 성소수자임을 받아들이게 되는 엄마들의 이야기를 분석한 결과 총 7개의 구성요소와 22개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7개의 구성요소는 ‘심장이 멈춤, 그러나 머릿속은 어느 때보다 바빴던 순간,’ ‘낯선 아이 앞에멈칫거리는 나,’ ‘듣도 보도 못한, 드러내놓고 물을 데도 없는 엄마 노릇,’ ‘평범한 꿈을 내어주고 얻은 깨달음 - 누구에게나 아픔은 있다,’ ‘평생토록 미안해,’ ‘끝나지 않는 전쟁,’ ‘아이를 떠나보내기’ 이다. 성소수자의 어머니가 자녀가 성소수자임을 받아들이는 경험을통하여 성소수자 당사자와 주변의 사람들에게 서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성소수자에게 수용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ce of mothers acceptance of their children s sexual minority identity. Six mothers of sexual minorities were recruited and interview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the study resultscan be summarized into seven themes and 22 sub-themes. Seven themes include ‘My heart stopped, but I had to concentrate and think properly,’ ‘I felt weird and was hesitated in front of my kid,’ ‘I had no idea and nowhere to ask,’ ‘Everyone has pain,’ ‘I am sorry for my life,’ ‘an endless war,’ and ‘leaving my child.’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ndamental resources to build sexual minority friendly environment and to promote better understanding of sexual minority issues in Korean society.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