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237.jpg
KCI등재 학술저널

재활시설에 입소한 알코올중독자의 회복 경험

Recovery of Alcoholics from rehabilitation facility: focusing on the meaning of individual and social recovery

  • 44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 회복자들이 생각하는 회복의 의미에 관해 탐색하고자 했다. 탐색의 목적은 알코올중독자들의 회복을 돕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탐색하고자 함이었다. 알코올중독자 재활시설 생활을 경험하고 알코올중독에서 회복 중인 8명의 남성 연구참여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례연구 방법에 따라 자료 분석을 실시하고 ‘재발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싶음’, ‘새로운 습관을 형성하게 해 준 재활시설’, ‘개인의 회복을 위한 사회의 회복 노력’이라는 3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주제별 논의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에게 회복의 시작은 본인이 알코올중독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었으며, 개인적 관점에서의 회복은 일상적 삶의 회복이었고, 이는 재활시설을 통해 새로운 습관을 형성함으로써 가능했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또한 사회적 관점에서의 회복은 사회적 분위기와 정책적 지원을 포함하는 사회 전반적인 회복 지향적인 변화였다고 논의했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This study explored what “recovery” means to participants who are recovering from alcoholism. The purpose of the exploring was to seek policies and practical programs helping alcoholics’ recovery. Data were collected from 8 participants who are recovering from alcoholism and have experienced the life of recovering community. Through the course of data analysis, researchers induced 3 themes such as “wish for breaking away from the fetters of recurrence”, “rehabilitation facility which makes them form a new habit”, “social effort of recovery for the individual recovery” and 9 sub-themes. These themes we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recovery begins when participants accept their alcoholism; second, the recovery from the individual viewpoint was recovery of everyday life, which was possible by making new habits in the rehabilitation facility; third, the recovery from the social viewpoint was transformation of society which includes social atmosphere and political support.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policies and practices for the recovery of alcoholics were proposed.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