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북한이탈 주민의 직업적응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occupational adaptation experience of middle-aged male North Korean defectors

  • 32
161236.jpg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남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북한이탈 주민의 직업적응 경험을 알아보고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 주민인 중년 남성 4명의 직업적응 경험에 대하여 심층면접하고, van Manen(1990)의 현상학적 체험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도출된 대주제는 ‘유리장벽에 가로막힘’, ‘현실과 거리두기’, ‘몸으로 부딪치며 나아감’, ‘희망과 마주섬’으로 나타났다. ‘유리장벽에 가로막힘’의 하위주제는 ‘준비없이 출발을 서두름’, ‘성과 기준의 높은 장벽’, ‘소통되지 않는 답답한 거리감’이었고, ‘현실과 거리두기’의 하위주제는 ‘통제와 간섭에 부딪침’, ‘좌절된 기대의 공백’으로 도출되었다. ‘몸으로 부딪치며 나아감’의 하위주제는 ‘시행착오 속에서 길을 찾음’, ‘견디는 만큼 변해가는 나를 봄’으로 나타났고, ‘희망과 마주섬’의 하위주제는 ‘주체적 삶에 대한 꿈’, ‘일을 통한 새로운 지지관계’, ‘자식에게 내어주는 미래’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 주민의 직업 적응 경험을 탐색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북한이탈 주민의 직업 적응 조력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및 전문적 상담 방안 마련의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of occupational adaptation by focusing on middle-aged men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 on 4 middle-aged men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and analyzed the data based on phenomenological experience research method of van Manen (1990). The main subjects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Blocked by glass barrier’, ‘Keeping distance from reality’, ‘Pushing forward by bumping’, and ‘Facing with hope’. The sub-topic for ‘Blocked by glass barrier’ included ‘rushing to start without preparation’, ‘performance-oriented high barrier’, ‘suffocating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Also, the sub-topic for ‘Keeping distance from reality’ included ‘blocked by control and interference’ and ‘gap of frustrated expectation’. On the other hand, the sub-topic for ‘Pushing forward by bumping’ included ‘finding way through trial and error’ and ‘changing by enduring’. Lastly, the sub-topic for ‘Facing with hope’ included ‘dream for independent life’, ‘new supportive relationship through work’, and ‘give in the future for child’.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suggesting the fundamental academic material for providing practical intervention and specialized counseling method in North Korean defectors’ occupational adaptation by exploring their experience of adaptation to work and examining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