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육미혼모의 ‘사람 책’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양육미혼모 휴먼라이브러리를 중심으로
- 강보미(BoMee Kang) 조소연(SoYeun Cho) 노혜련(Helen Noh)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 제13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9.03
- 177 - 207 (31 pages)
본 연구는 양육미혼모의 사람 책 활동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휴먼라이브러리에 사람 책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양육미혼모 9명에 대한 면접과 양육미혼모 휴먼라이브러리 현장에 대한 참여 관찰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무지(無知)의 지(知)’라는 본질적 의미를 발견하였고 무지의 지를 구성하는 4가지 주제로 ‘나의 무지: 알고 싶지 않은 일’과 ‘타인의 무지: 알 필요 없는 남의 일’, ‘나의 앎을 통한 변화: 살아있는 책이 됨’, ‘타인의 앎을 통한 변화: 살아있는 도서관을 만들어 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 잘 알려지지 않은 양육미혼모의 현실을 보여주었으며, 사람 책 활동의 과정과 의미를 고찰해 사회복지 실천과 정책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child-rearing unmarried mothers who participated in human library as ‘human books’. Research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by interviewing 9 child-rearing unmarried mothers who participated in human library as human book. Additional data was acquire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human library as participant observer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e essential meaning as ‘realizing ignorance’. Four themes derived from ‘realizing ignorance’ were ‘my ignorance: that I did not want to know’, ‘other people s ignorance: that I do not need to know’, ‘my change through realization: became a living book’, ‘other people s change through realization: creating a living librar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posed the reality of child-rearing unmarried mothers that is not well known in the society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and policy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meaning of participating in human library as human books.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와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