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자활사업 현장에서 나타난 실천과 제도의 갈등 경험 연구

자활사업 실천가들의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연구자는 자활사업의 실천이 현장의 고유한 주체성과 능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경험연구는 창의적이고 유용한 사회복지실천 지식의 축적에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판단 하에 제도와 독립성을 유지하며 갈등을 일으키는 현장의 실천가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자활사업 실천 현장에서 5년 이상 근무하고 제도와 갈등을 경험한 3명의 실천가를 연구참여자로 의도적으로 표집하여 내러티브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자활사업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경험의 의미를 ‘제도와 상관없는; 무관(無關)’, ‘제도를 넘어서는;극복(克服)’, ‘제도를 알지 못한; 무지(無知)’의 세 가지 테마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실천 경험을 고려한 제도 개선과 제도에 대한 현장의 명확한 인식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experiences of workers who have worked for field of Self-Sufficiency Programs, based on the thought that field of Self-Sufficiency Programs has had their own resistance and activeness. For the study 3 workers who had experiences of conflict between policy and field work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is used, which is one of the most useful research methodologies to understand experiences of others. This study describes whole experience from starting to ending of each worker s field experience as holistic-contents analysis. And then three themes are drown from their experiences : <indifference ; indifferent to the policy>,<overcoming ; overcoming a limitation of the policy> <naiveness ; not knowing well the way of the policy>. It s suggested that we should understand the field experiences deeply and concretely and consider the field experiences when we rebuild and evaluate the Self-Sufficiency Programs. And then it needs that the field workers should have clear understanding of what is the policy reality.

1. 서론

2. 선행연구 고찰

3. 연구방법

4. 자활사업 실천가의 실천과 제도의 갈등 경험 이야기

5. 자활사업 실천가의 실천과 제도의 갈등 경험의 의미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