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247.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maladjusted students: Approached with Grounded Theory

  • 6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적응력 강화를 위한 지지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학교부적응 문제를 경험한 학생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에서는 107개의 개념, 34개의 하위범주, 14개의 범주를 구성했다. 축코딩 결과로, 인과적 조건들은 ‘학교의미를 잃어버림’, ‘의지가지 없음’,‘현실에서 소외’, 맥락적 조건들로 ‘불안으로 꽉 차있음’, ‘위축됨’, ‘어른아이’, ‘모성 그리움’, ‘파묻혀 생활하기’ , 중심현상은 ‘학교벗어나기’, 중재적 조건들로 ‘고립된 세계에서 열린 세계로’‘반항하면서도 인정받고 싶음’,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자기의 가능성 확인하기’, ‘감정이입적 연민’, 결과는 ‘미래를 자기것으로 만들기’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자기 비하감에서 벗어나 미래를 향해 걸어가기』로 상정했고, 유형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퇴행형」, 「현상유지형」, 「미래개척형」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황모형을 제시했다. 최종적으로 학교부적응 문제 극복을 위한 연구참여자들의 탄력성 발현을 강조하고 학교상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maladjusted student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suggest ways to enhance their adjustment.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analysis of nine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98). The result is as follows: In open coding, the author constructed 107 concepts , 34 sub categories, and 14 main categories. In axial coding, causal conditions were that “school is meaningless,” “there is no one to rely on,” and that “reality is neglected”. Context conditions were “Anticipation anxiety,” “Shrinking,” “Kidult,” “absence of motherhood,” “A sequestered life”. Phenomenon was “Escape of school”. Intervening conditions were “Walking from isolated world to the open world,” “Ambivalence of authority”. Action/ Interaction strategy were “Revelation of resilience,” “Sympathy”. Consequence was “Making that future self”. In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Escape from self humbling and walking to future”. Type analyzed were “Regression,” “Status quo,” “Future”. Finally, the study includes Conditional Matrix. The final suggestion includes emphasis on the revelation of elasticity for maladjusted students (i.e., study participants) and a detailed proposal to be applied at the field of school counseling.

1. 서론

2. 선행연구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