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음주를 경험한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의 생애사
A Life History on the Experience of Problem Drinking in Single Mothers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 제10권 제1호
- : KCI등재
- 2016.03
- 31 - 54 (24 pages)
본 연구는 문제음주를 경험한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들의 생애사를 분석하여 그들이 실존적, 가족적,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살아온 삶의 적응 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제음주를 경험한 후 단주를 유지하거나 음주량을 적절히 통제하며 생활하고 있는 한부모가족 여성가구주 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수집된 원자료는 Mandelbaum(1973)이 제안한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의 3가지 개념틀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의 문제음주를 야기하고 유지하거나 음주로 인해 파괴된 삶의 영역에는 경제적 어려움, 지속적인 가족갈등에의 노출, 대인관계의 단절, 자기파괴적 심리행동이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다. 문제음주를 멈추거나 조절하게 하는 삶의 전환점에는 여성가장의 실존적 각성, 바닥 경험에서 배움, 지인들의 꾸준한 지지가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다. 문제음주의 재발을 억제하는 적응 전략으로는 자식을 위한 재활 노력, 음주를 위한 타협점 찾기, 일상의 행복 찾기가 주요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부모가족 여성 음주자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fe history of single mothers who experienced problem drinking and to comprehend their life adaptation process through existential, familial, and social interactions. For this, we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single mothers who maintained abstinence from or were in control of the amount of alcohol use after experiencing problem drinking. The raw data were analyzed following Mandelbaum’s conceptual frame; dimension of life, turning point and adaptation. In analysis of the dimension of life which caused and maintained problem drinking or destroyed the life due to problem drinking, ‘financial difficulties’, ‘exposure to continuous family conflicts’, ‘breakage of personal relations’, and ‘self-destructive psychological behavior’ were represented as main themes. In analysis of the turning point which stopped problem drinking, ‘existential awakening as a female breadwinner’, ‘learning from rock bottom experience’, and ‘untiring support from acquaintances’ were represented as main themes. In analysis of the adaptation which maintained abstinence from or were in control of the amount of alcohol use, ‘efforts to rehabilitation for children’s sake’, ‘seeking compromise for reasonable drinking’, and ‘finding happiness in the daily routine’ were represented as main them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ingle mother drinkers were discussed.
1. 문제제기
2. 문헌검토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