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밀키트 이용 현황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Meal-Kits by Food-Related Lifestyle

  • 623

본 연구는 밀키트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성인 357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밀키트 이용 현황과 만족도차이를 분석하였고 밀키트 시장에 효율적인 메뉴 구성과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군집분석한 결과는 ‘건강추구 집단’, ‘안전추구 집단’, ‘편리추구 집단’, ‘경제추구 집단’, ‘미식추구 집단’ 등의 5가지 집단으로 군집화되었다. 밀키트 월평균 구매가격은 미식추구 집단의 경우 밀키트 ‘3-5만원’이 36.66%로상대적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밀키트를 구매하는 장소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전체 대상자의 52.38%로나타났고 밀키트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으로는 ‘맛’으로 경제추구 집단의 경우 전체의 58.46%로 다른 집단에 비해높게 나타났다. 밀키트 선호 음식 종류는 ‘한식’이 전체의 49.02%가 선호하였다. 식재료는 모든 유형 집단에서 ‘육류’가 전체42.58%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미식추구 집단(53.33%)에서 높았다(p<0.001). 밀키트 만족도에서 ‘조리방법의 간편성’이 4.05점으로 미식추구 집단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재료의 원산지’의 경우 편리추구 집단에서 2.98점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낮은 만족도를 보였다(p<0.01). 전체 대상자의 93.28%가 앞으로 밀키트를 이용하겠다고 하였다. 전체의 93.28%는 다른 사람에게밀키트 이용을 추천하겠다고 하였으며, 추천이유로는 ‘구매 또는 조리의 편리성’이 전체의 67.23%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모든 군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맛으로 나타났으며 조리방법의 간편성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지만재료의 원산지는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밀키트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밀키트 품질 개선과 다양한 메뉴 개발이 이루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meal-kits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among total 357 adults who had experience in using meal-kits.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menu composition and directions toward improve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health-type group’, ‘economic-type group’, ‘safety-type group’, ‘tasty-type group’ and ‘convenience-type group’. The ‘tastye-type group’ were found to spend more on purchasing meal-kits than other groups with the higher proportion(36.66%) of spending ‘30,000-50,000’won(p<0.05), which is the highest price category. The important factors that contributed to purchasing a meal-kits were ‘taste’(50.98%), and ‘economictype group’ showed the highest tendency of considering taste (58.46%). About half(49.02%)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Koreanfood’ for meal-kits as for the type of food. All groups highly preferred ‘meat’(42.58%) as the main ingredient, particularly the ‘tasty-type group’(53.33%)(p<0.001). The ‘tasty-type group’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on ’convenience of cooking’(4.05), and ‘convenience-type group’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on the ‘origin of ingredient’(2.98) among groups (p<0.01). The overall response indicated that most respondents are willing to use meal-kits in the future (97.20%); and 93.28% of respondents would recommend the purchase of meal-kits to others, where ‘convenience of cooking/purchase’ was the factor contributing most for recommending(67.23%). Taken together, ‘tast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ll groups. And ‘Convenience of cooking’ was the factor contributing to satisfaction most while ‘origin of ingredient’ contributing the least. It is recommended for the growth of meal-kits indust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meal-kits products and develop various menu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