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장기복무 제대군인 배우자의 스트레스가 고립감을 매개로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 거주 지역 규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Stress of a Veteran Spouse on Marital Conflict :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Isolation with Difference in Size of Living Areas

  • 113
커버이미지 없음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복무 제대군인 배우자의 스트레스가 고립감을 매개로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주 지역 규모에 따른 경로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자료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인구사회학적 특징 및 주요 변수 실태를 파악하여 기술 통계로 제시하였다.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프로그램(ver.2.16.3)을 사용하여 대도시 및 중소·군소 도시 거주 집단으로 각각 구분하고 매개경로를 비교하였다. 분석대상은 복무기간 10년 이상의 남자 장기복무 제대군인의 여성 배우자 중 부부 동거 중인 144명이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복무 제대군인 배우자의 스트레스는 거주 지역 규모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장기복무 제대군인 부부갈등 수준은 전국 가정 폭력 실태조사(2019)에 비해 매우 높았으나, 거주 지역 규모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대도시에 거주하는 제대군인 배우자의 스트레스는 고립감에 영향을 미치나, 고립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제대군인 배우자의 스트레스는 고립감을 매개로 하여 부부갈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대군인 배우자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개별 사례관리, 부부간 긍정적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가족치료 프로그램 도입, 지방에 거주하는 제대군인 배우자의 고립감 해소 및 정서 안정을 위한 지역사회 친화 프로그램을 제언하였다. 향후 군사회복지 연구에 제대 군인 가정과 관련한 연구로 범위의 확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 between the stress of a veteran spouse and marital conflict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isolation with difference in size of living areas. Method: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ain variables of the study subjects. The PROCESS Macro program(ver.2.16.3) was also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isolation with difference in size of living areas. A total of 144 middle-aged women living with husbands who serviced in the army for more 10 years and discharged was analyzed. Among the middle-aged women, 73 people (51.8%) live in large cities and 68 people (48.2%) live in small and middle-sized cities. Results: First, in the group of spouses living in the large cities, stress of spouses affects the perceived isolation but does not affect marital conflict through the perceived isolation so that the mediating effect is insignificant. Second, in the group of spouses living in the small and middle-sized cities, the stress of spouses affects marital conflict through the perceived isolation so that the mediating effect is significant.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are different from the large and small-sized citi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o expand the support system for veteran spouse to ease the perceived isolation of the spouses living in small-sized cities, prepare long-term policy measures to relieve veteran spouse stress, and introduce the TSL program to increase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veteran and spouses.

I.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