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분노 조절 향상을 위한 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단일 상담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Single Counseling Using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Anger Control

  • 955
161331.jpg

본 연구는 분노조절 향상을 위한 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단일 상담 사례 연구로써 분노감정 조절과 공격성 안정의 목적을 두고 미술치료프로그램 활용하여 상담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 여학생이며 분노조절 향상을 위한 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단일대상으로 하여 상담 사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상담회기는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주 1회 90분으로 총 8회기를 진행했고, 측정 도구는 Silver(2002)의 이야기 그림검사(Draw A Story : DAS)와Spielberger(1988) 가 개발하고 전겸구, 김동연과 이준석(2000)이 연구하여 수정했던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윤리에 적합하도록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작품사진, 관찰기록, 자기보고식 소감을 통하여 수집되었고 자료 분석은 연구자와 연구보조자로서 미술심리상담사 1인 및 박사과정생 1인과 협의하여 분석하였다. 상담회기 시 연구대상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자기 보고식 소감문, 연구보조자의 관찰기록 및 연구자의 소감을 통해 분노조절 향상을 위한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생의 감정 조절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에게 분노감정을 탐색하고 정서적 이완과 표출 작업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는 것을 돕고 충분한 지지 및 격려를 통한 치료적 개입으로 인한 정서적인 안정감과 분노감정과 분노의 상황을 인식하면서 긍정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분노 조절의 어려움을 경험한 중학생에게 미술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한 상담은 부정적인 감정과 언어표현에 변화를 보임으로써 분노감정조절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단일 상담사례의 일반화 어려움과 집단상담이 갖는 역동성을 고려하여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사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a single counseling case study using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anger control, and counseling was conducted using art therapy program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anger emotion and stabilizing aggress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first-year middle school female student, and the counseling case study method was adopted as a single target using an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anger control. Counseling session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8 sessions of 90 minutes once a week, including pre- and post-tests, and the measurement tools were developed by Silver (2002)’s Draw A Story: DAS and Spielberger (1988) and developed by Jeon Gyeom-gu. ,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scale (STAXI-K), which was studied and modified by Dong-Yeon Kim and Jun-Seok Lee (2000),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hotographs of works, observation records, and self-reported impressions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comply with research ethic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consultation with one art psychology counselor and one doctoral student as a researcher and research assistant. In order to confirm the changes of the study subjects during the counseling sess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improve anger control through self-reported impressions, observation records of research assistants and researcher s impressions. In conclusion, counseling using art therapy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nger control showed changes in negative emotions and verbal expressio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anger control.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suggest that a group counseling case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of generalizing single counseling cases and the dynamics of group counseling.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