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임금근로 미혼 여성들의 경제적 요인이 결혼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2017년 여성가족패널 자료 중 임금근로 중인 미혼여성 74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가족주의 결혼태도는 보통 이하의 점수를 보여 동의하지 않는 편으로 나타났으며 동거나 이혼, 혼전성관계, 자신의 성취를 강조하는 개인주의 결혼태도에 보통 이상의 동의를 보여 동의하는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주의 결혼태도는 약화되고 개인주의 결혼태도는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가족주의 결혼태도와 개인주의 결혼태도 두 변수 간 상관관계가 유의미하지 않아 높은 가족주의 결혼태도가 낮은 개인주의 결혼태도를 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가족주의 결혼태도를 옹호하더라도 동시에 보다 포용적인 개인주의적 결혼태도 역시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높은 소득수준과 풍족한 경제상태는 가족주의 결혼태도를 약화시키고 개인주의 결혼태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 만족도와 정규직여부는 가족주의 결혼태도를 강화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경제력이 결혼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의 일과 경제력이 결혼과 가족의 영역을 어떻게 재조정하게 될지 전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examine to the effect of economic factors on marriage attitude of unmarried wage working women. Data came from Korea Survey of Women and Family 2017. The final sample size 740 unmarried employed women in South Korea. Analysis method 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married wage working women showed lower familyist marriage view than the individualist marriage view.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ist marriage view and individualist marriage view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refor two variables are independent. Third, it was found that high income levels and abundant economic condi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eakening the familyist view of marriage and improving the individualistic view of marriage. On the other hand, job satisfaction and regular work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rengthening the familyist marriage view. Therefore, the effect of women s economic power on marriage attitudes was not consist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predicted how women s work and economic power would readjust the realm of intimac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