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504.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등학교 고학년생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따른 모자화 반응차이

The Differences in the Responses of the Mother and Child Drawings According to the Smartphone Dependency Level of the Upper-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16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에 따른 모자화 반응차이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여부를 변별하는 투사적 그림검사로서 모자화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와 U시 소재의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 476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와 모자화를 실시하였다. 검사 실시 후 스마트폰 과의존군으로 나온 95명과 일반군으로 나온 336명 중 무작위로 95명을 선정하여 본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과 t 검증, 교차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과의존군과 일반군의 모자화 반응차이를 알아본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높을수록 모자화의 전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폰 과의존군과 일반군의 모자화 채점척도를 분석한 결과 모자화의 크기, 표정, 신체접촉, 눈맞춤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군과 일반군의 모자화 PDI의 반응차이를 알아본 결과 모자행동, 모자의 생각, 친밀감 3가지 질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mother-and-child drawings as a projective drawing test to distinguish the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differences in mother-and-child drawings responses. Mother-and-child drawing and a smartphone overdependence scale were administered to 476 fifth-and sixth-grade student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P and U city. Afterward, 95 smartphone overdependent students and 95 students among 336 normal group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rossover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mother-and-child response differences, the higher the overdependence, the higher the mother-and-child overall score. In the mother-and-child grading scale, differences in size, expression, body touch, and eye contact were shown. Second, in the mother-and-child Parent-Directed Interaction response between the smartphone overdependent group and its counterpart,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and-child behavior, thought, and intimacy were show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