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606.jpg
KCI등재 학술저널

사회과 예비교사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 그 효과

News literacy education for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and its effect

  • 35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의 뉴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 대학교의 사회과 교과교육 수업에서 5주간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실시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고, 수강생의 성찰지 및 지도안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스 리터러시 교육 이후 뉴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생산하는 등 적극적인 행동 경향이 더욱 강해졌다. 둘째, 통계 분석 결과, 뉴스의 비판적 수용, 효율적 활용, 효능감 등의 측면에서는 교육의 효과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학습자의 성찰지 분석 결과,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뉴스에 대한 비판적 수용 지식이 증가하고, 뉴스의 기초 및 뉴스 제작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통계 분석 결과, 뉴스를 사회과 수업에 활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인식이 교육 후에 더 강해졌다. 또한 성찰지 분석 결과, 뉴스에 대한 비판적 분석, 뉴스 제작 활동 등을 사회과 수업에 포함하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뉴스를 수업에 잘 활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은 교육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수업 지도안 분석 결과, 이들이 성찰지에 제시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지도안으로 표현한 실제 교수․학습에의 적용 사이에는 괴리가 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 education to cultivate news literacy. To this end, news literacy education was conducted for 5 weeks at a university, and the effects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and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news literacy education, the tendency of active actions such as actively utilizing and producing news became stronger. Second, statistically it was difficult to find the effect of news literacy education in terms of critical acceptance, efficient use, and efficacy of news. However, knowledge of critical acceptance of news increased, and understanding of the basics of news and news production process improved. Third,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the perception that news should be used in social studies classes is stronger than before. In addition,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include critical analysis of news production activities in social studies classe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education in the confidence that news could be used well in their clas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esson plan, there was a very large gap between the various ideas they presented in their reflection notes and their application to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expressed in the lesson plan. From thos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