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606.jpg
KCI등재 학술저널

Rasch 모형을 이용한 대학생 기본 말하기역량 진단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Basic Speaking Capability Diagnostic Tool for University Students Using Rasch Model

  • 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기본 말하기역량 향상을 위해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기본 말하기역량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검증방법은 첫째, Winstep프로그램을 사용하여 Rasch모형 분석으로 문항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둘째, 진단도구의 요인구성을 위해 SPSS2.5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AMOS 25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 기본 말하기역량의 구성요소는 ‘논리구성력’과 ‘유창성’, ‘청중상호작용’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논리구성력 은 언어적 요소로, 유창성 과 청중상호작용 은 비언어적 요소에 해당하였다. 청중상호작용은 기존 연구에서 시각적 요소로 분류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청중상호작용이 하나의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말하기 능력에서 언어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나 본 연구 결과는 청중과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심리·사회적 긴장과 반응, 자기 피드백의 중요성이 더욱 중시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기본 말하기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청중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자기보고식 진단이 내면적이고 비인지적 부분에 강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s to develop diagnostic tools to improve the basic speaking skills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the basic speaking cap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extracted, and the diagnostic tools were developed and verified. First, the verification method was to use the Winstep program to analyze the Rasch model to verify the question compatibility. Seco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2.5 to construct factors in the diagnostic tool. Third, the model suitability was analyzed using AMOS 25 to analyze the confirmative factor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omponents of the basic speaking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re logical composition , fluency and audience interaction . Among them, logical composition was a linguistic component, while fluency and audience interaction were nonverbal components. Audience interactions have been classified as visual elements in existing studies, but in this study, audience interactions consist of one fact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developing basic speaking skills diagnostic tools for university students,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audience interaction, and confirming that self-reporting diagnosis is internal and non-cognitiv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