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학술저널

뉴질랜드 국가 교육과정에서 기술 교육의 성취 목표와 내용 체계의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Objectives and Content of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in New Zealand

  • 45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 교육과정에서 기술을 필수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는 뉴질랜드의 중학교 기술 교육의 성취 목표와 내용 체계의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 분석의 주 대상은 2017년의 “R evised Technology learning area”이다. 뉴질랜드의 기술 교육은 크게 기술적 실천, 기술적 지식, 기술의 본질의 세 가닥(Strands)으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이 세 가닥은 (1) 디지털 기술에 대한 컴퓨팅 사고, (2) 디지털 결과 설계 및 개발, (3) 재료 결과 설계 및 개발, (4) 처리된 결과의 설계 및 개발, (5) 설계 및 시각적 의사소통의 기술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뉴질랜드 중학교 기술 교육의 성취 목표와 내용에서는 설계(design) 또는 설계하기(designing)가 가장 많이 강조 되고 있고 디지털 기술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있다. 독립과목으로 실시 되고 있는 뉴질랜드의 기술 교육의 성취 목표와 내용 체계는 ‘기술·가정’의 반쪽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정보’과목이 따로 떨어져 있는 우리나라의 기술 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se Revised Technology learning area in 2017 in the The New Zealand Curriculum. The technology learning area in the Curriculum has three strands: Technological practice, technological knowledge, and nature of technology. These three strands are embedded within each of five technological areas: (1) computational thinking for digital technologies, (2) designing and developing digital outcomes, (3) designing and developing materials outcomes, (4) designing and developing processed outcomes, (5) design and visual communication. In the achievement goals and contents of New Zealand junior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design’ and ‘digital technology’ is most emphasized. The achievement objectives and content of New Zealand s technology education, which is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separate subject is very suggestive to Korean technology education which is a half of technology and home and seperated subject, information .

Ⅰ. 서론

Ⅱ. 뉴질랜드 교육과정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