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습부진 대학생의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로 학부 대학생의 학습 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학습요인별 문항을 수정․보완 하였으며, 총 500명의 학부 학생들에게 offline으로 배포하여 총 421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단과대 유형에 상관없이 수업 참여도가 학습 요인 8개 중 가장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학사경고 여부에 따른 학습 요인별 차이에서는 학사 경고 그룹이 낮은 학습전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효과를 경험 유무에 따른 자가 인식도에서는 대부분 그룹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업 방해 요인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 학습요인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수업의 질과 수업 참여 정도 간의 상관관계를 제외한 나머지 요인 간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r=.509-.573)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언하자면, 학습 습관은 단기간 완성되는 것이 아니므로 신입생 때부터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학생 지도를 통해 학습 이탈자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수업 중 노트 정리 전략,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수업 관리 계획, 쉬는 시간을 활용한 복습 방법 등을 통해 학습 실패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학교 차원에서 지원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learning support program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underachieve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earning ability were identified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questions for each learning factor, and distributed offline to a total of 500 undergraduate students, resulting in a final analysis of a total of 421 questionnaires. To summarize the results, class participation was the lowest among the eight learning factors regardless of the college type. According to the academic warning,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warning experience group showed a lower learning strategy than the other group.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self-awarenes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learning effect was experienced, except for the obstacles to class (p=.000). In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r=.509-.573) between the remaining variables excep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class quality and class participation. As a suggestion, learning habits are not comple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so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long-term plan from the beginning of freshman year, and to ensure that students do not deviate through continuous student guida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at the school level so that students can escape learning failures through a note-taking strategy during the class, a periodic and continuous class management plan, and a review method using break tim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