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611.jpg
학술저널

경인지역 중소규모 4년제 대학의 1학년 대상 교과목과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탐색

An Exploration of First-Year Experience Programs of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in South Korea

  • 145

이 연구는 경인지역 중소규모 4년제 대학 14개를 대상으로 각 학교의 1학년 대상 교과목과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하여 탐색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로서 학생성숙모델과 공동체문화자산이론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분석은 분석 대상 대학의 웹페이지와 모집요강을 이용하여 1학년 대상 교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집한 뒤 내용분석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1학년 대상 프로그램은 비교과 프로그램보다는 교과목의 형태로 제시되는 편이었으며 전반적으로 개인 간 관계에 대한 성숙보다는 학문적 성숙과 개인적 성숙을 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다수인 경향이 있었다. 교과목과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한 경우는 극히 소수였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Atlanta-Based Learning과 같이 교과와 비교과를 연계하면서 지역공동체에서 1학년 학생들이 선배 멘티와 지역 내 사회문화적 맥락과 불평등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활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기획 및 실행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irst-year experience programs (FYEPs), which are course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provided by small and middle-sized universities located near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we use a hybrid of the Thriving Students Model and Community Cultural Wealth Model. For this analysis, we collect the information of course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related to FYEPs from the college and university websites. We find that FYEPs tend to be provided as courses rather than extracurricular programs. In addition,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cademic and personal thriving tend to be provided more often than those for students’ interpersonal thriving. To offer diverse programs for students’ interpersonal thriving, we suggest that mentor-and-mentee cooperation programs, aimed at students’ engagement in problem-solving in neighborhoods around their colleges/universities, such as the Atlanta-based learning programs of Georgia State University, should be provided to first-year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교과목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분석

Ⅴ. 결론 및 제안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