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611.jpg
학술저널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 고도화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For the Advancement of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um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 780

대학교육 및 사업에서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뿐 아니라 비교과교육과정의 중요성과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교과교육과정의 운영 절차 및 재학생의 인식 조사를 통해 효율화 방안을 도출하고 고도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의 운영 절차를 중심으로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역량맵핑과 질 관리 체계를 확인하여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운영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비교과교육 과정의 핵심역량의 중요도는 직무역량과 도전성취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참여도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교육과정이 학생들의 역량향상과 더불어 전공 학습 능력 고취, 진로 및 취업 도움, 취미나 관심분야의 긍정적 영향 등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일리지 장학제도는 학생들의 동기부여의 외적 강화 요인으로 비교과교육과정의 학생 참여의 지속 및 증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역량기반 비교과교육과정의 질 개선으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운영 방향성의 유용한 정보를 제시해 줄 것이다.

The importance and role of the extra-curriculum is emphasized as well as the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 in university education and busin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upgrade efficiency measures through the operational procedures of extra education courses and the survey of students perception. To this e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facing the university was sought by checking the mapping and quality control system of the competency-based extra education courses, focusing on the operation procedures of the D university. First, the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the comparative education process was the highest in job competency and challenging performance, and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as also the highest. Second, the extra education courses operated by universities have been shown to improve students competencies, as well as promote their major learning skills, help with career and employment,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hobbies and interests. Third, the mileage scholarship system has been shown to influence the continuation and increase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extra curriculum as an external strengthening factor of students mo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by improving the quality of future competency-based extra course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Ⅰ. 서론

Ⅱ. 비교과교육과정 운영 절차

Ⅲ. 비교과교육과정 인식조사

Ⅳ. 비교과교육과정 효율화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