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활 만족의 하위 영역들이 대학생활의 전반적 만족과 교육과정, 비교과 활동 등에 어떤 상대적 영향력이 있는지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충남소재 S대학교 재학생 848명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과 모교, 경제적 지원, 학습지원, 교우관계, 교수, 학생복지 등 6개 영역으로 구성된 ‘대학생활 만족도 척도’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지금의 대학생활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대학의 교육과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교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는 세 개의 문항을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종속변인에 대하여 대학생활 만족의 세부 요인들을 투입하여 어떤 요인이 주요한 영향을 주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설명력이 높은 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비교과 교육에서도 체계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고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교육이 계획되고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variables affect college satisfac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o achieve the study goal, a total of 848 questionnaires was analyze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with six categories; demographic information, economic support, learning support, students’ welfare,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professor, etc. The 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ree items as dependent variables: ‘I am generally satisfied with my current university life’, ‘I am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university curriculum’, and ‘I am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extracurricular program’. After entering each factor, a factor with high explanatory power was calculated using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six factors. It was found that student well-being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college life satisfaction, extra-curricular education satisfaction, and core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the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secure systemicity and continuity in extra-curricular education, and to plan and operate long-term and stable extra-curricular educa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