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를 비교・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향후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과 일본의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 학습지도요령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사회과 관련 편제, 사회과의 목표와 내용 구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교육과정의 정체성은 대안 교육과정이라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사회과 편성 학교급과 관련 교과 및 교육활동 영역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두 교육과정에서는 사회과의 목표를 사회현상에 대한 인식을 통한 자질 육성에 두고 있으며, 세부 목표를 역량을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자질의 특성에서 기본교육과정은 학습자 측면을, 지적장애 교육과정은 국가・사회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두 교육과정에서 사회과의 내용은 전통적인 학문영역을 포함하고, 학교급에 따라 심화・발전되도록 배열하고 있으며, 성취기준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내용의 특성, 배열, 성취기준의 제시 방식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와 같은 이원적 교육과정 개발체제를 유지할 경우, 일반교육과정의 보편성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사회과의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의 편제, 사회과의 성격, 목표, 내용 등에 대해서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ocial studie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both Korea and Japan to reve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To this end,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and the special support school curriculum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Japan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identity of the curriculum, social studies-related organization, and the goals and content composition of the social studies in each countr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dentities of the two curricular are similar as an alternative curriculum, bu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level in which social studies are differently organized and related subjects and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the two curricular are similar, that is, they focus on fostering qualities through awareness of social phenomena and presenting detailed goals centered on competency, but in terms of the quality, the basic curriculum emphasizes learner’s aspect and the intellectual disability curriculum emphasizes national and social aspects. Third, in the two curricular,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are arranged to be deepen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nd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achievement standards,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rrangement of contents, and way of pres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the current dual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 is maintained, in-depth discussions are needed on its organization, nature, goal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in a way that can guarantee the identity of the social studies while considering the universality of the general curriculum and the specificity of the special curriculum.
Ⅰ. 서 언
Ⅱ. 한・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정체성과 편제
Ⅲ. 한・일 특수교육 교육과정 사회과의 목표와 내용
Ⅳ. 요약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