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1689.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아 또래지위 관련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n Children’s Peer Status

본 연구는 유아 또래지위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현재 요구되어지는 과제를 논의함으로써 향후 유아 또래지위 관련 연구의 과제와 방향을 모색해 나가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84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석·박사 학위 논문과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15편을 선정하여 유아의 또래지위 관련 연구동향을 연구시기, 연구내용,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양적인 증가, 국가정책의 시행, 현대사회의 가족구조의 변화와 함께 2000년 이후에 유아 또래지위 관련 연구가 급증하였다. 둘째, 연구내용으로는 유아의 사회성, 정서발달영역과 또래지위에 관한 주제가 가장 빈번히 다루어졌으며, 그 외에도 유아 개인특성 및 기질, 인적 환경 중 부모와의 관계성을 밝힌 연구가 비중 있게 실행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만 5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행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던 반면에, 만 3세 이하 영유아를 다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유형으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중 조사연구가 주로 실행되었고, 2012년 이후에는 질적연구가 급증하였다. 또래지위를 측정하는 검사도구로는 또래평정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균형적인 실행 및 종단연구의 필요성, 유아 또래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환경요인 탐색, 2019 개정누리과정의 시행과 함께 또래지위 향상을 위한 교육적 접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추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study on children’s peer status and discuss opportunities to seek new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For this purpose, 115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1984 to 2019 were selected and analy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olog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hildren’s peer status has increased since 2000, based on the issues of growth of preschools, national polici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anges in family structure. Second, research subjects mainly covered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related to children’s peer status. In addition, children’s personal traits, disposition, and parents were the main subjects of most studies on children’s peer status. Third, in terms of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mainly observed 5-year-old children although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hildren under 3. In addition, most studies rely on quantitative methods, and they are mostly gathered in research studies. Peer nomination was mainly used to measure children’s peer status. Implications and new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on children’s peer status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