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하는 공동체적 관계성의 의미

Meaning of the communal relationship in th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공동체적 관계성의 변화과정을 통해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유아교육을 이념으로 공동체적 관계성을 지향하며 실천하고 있는 세 곳의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 2018년 1월부터 11월까지 각 5회씩 15회의 참여관찰과 원장, 교사, 부모 총 12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외에도 연구자 노트, 교육계획서, 홈페이지, 소식지, 가정통신문, 영상 자료, 서류와 공문 등 각종 문서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질적 분석의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동체적 관계성을 형성하기 위한 시작단계에서는 서로 들여다보며 공동체의 의미와 철학을 고민하고 방향과 관념을 맞추어가며 공동체의 모습을 갖추어가고 있었다. 둘째, 구성하기 단계에서는 아이, 교사, 부모라는 공동체의 구성원이 관계의 흐름 속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안과 밖의 더 넓은 공간으로 넘나들고, 시간의 리듬을 따르며 공동체적 관계성을 맺기 위한 길을 찾아가고 있었다. 셋째, 성장하기 단계에서는 우리라는 존재가 되어서 ‘나’에서 ‘우리’의 관계로 나아가서 ‘함께’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는 관계로 성장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생태유아교육기관에서의 공동체적 관계성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ecological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through the process of changing its communal relationship. To this end, three eco-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practicing ecologically oriented education for community relations conducted 15 participant observations (five times each) between January and November 2018. The 12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institute heads, teachers, and parents. In addition, various documents were collected, including research notes, education plans, a homepage, newsletter, home communications, video data, and various documents (also official docu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ccording to the research, to form a communal relationship in the initial stage, we were looking at each other, agonizing over the meaning and philosophy of the community, and fitting into the community by aligning with the prevailing direction and ideology. Next, in the organization stage, members of the community—children, teachers, and parents—were crossing into a wider space inside and outside the institution of infant education amid the flow of relationships, following the rhythm of time and finding a way to build a communal relationship. Finally, we could move from a “me” to “our” relationship and see that we were advancing to a relationship that existed under the label of “togeth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relationship in the eco-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