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her’s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on her infant’s problem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 5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온정적 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KSC) 6차년도(2013)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월령 60개월 이상 66개월 이하의 1,662명의 유아 중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1,163명의 유아와 해당 유아의 어머니이다. 각 변인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모형으로 통계 처리하였으며 모델의 적합도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태도를 매개로 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 s self-esteem, parenting stress, and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on her infant’s problem behaviors and their structural relation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6th year(2013)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KS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data for 1,163 children between 60 and 66 months going to kindergarten or nursery and their mothers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nd influence of each variable,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as showing excellent model fit.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 s self-esteem did not directly affect the infant’s problem behaviors. Second, the mother s parenting stress directly affected the infant s problem behaviors. Third, the mother s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ed the infant’s problem behaviors. Fourth, the mother’s self-esteem and parenting stress indirectly affected the infant’s problem behavior through the mediation of her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