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정부 발행 교단지원 자료의 놀이 담론 비판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play” in the guides of Nuri Curriculum for 3-5 year olds issued by government

DOI : 10.30761/ecoece.2019.18.1.1
  • 91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라 정부가 발행, 보급한 교단지원 자료에 나타나 있는 놀이 담론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드러나 있는 또는 내재해 있는 ‘놀이’를 Fairclough(1995, 2011)가 제시한 텍스트, 담론 실천, 사회적 실천의 세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텍스트 수준에서 분석한 교단지원 자료 속 놀이는 교사가 의도를 가지고 계획해서 제공하는 놀이 활동과 자유선택활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담론 실천 수준에서 분석한 유아교육현장에서의 놀이는 분절된 시간과 구획화된 공간에서 교사가 준비해 주는 활동으로 실행되고 있으며, 실행 과정에서 작동하고 있는 신념과 제도로 전인 발달에 대한 열망과 기관평가의 강제성을 읽을 수 있었다. 사회적 실천 수준에서의 분석을 통해서는 놀이 담론 이면의 권력으로서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와 교육과정 전문가에 대한 집단적 신뢰를, 그리고 놀이 담론의 권력으로서 수업 전문가로서의 교사 아비투스 (재)생산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단지원 자료의 놀이 담론에서 소외된 놀이성과 향후 교단지원 자료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play” discourse critically in the guides of Nuri Curriculum for 3-5 year olds (hereafter, “guides”) issued by government. The “play” discourse that is exposed or inherent in the guide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ree dimensions - text, discursive practice, and social practice - suggested by Fairclough (1995, 2011). First, at the text dimension, it was described that the play in the guides is “planned activities that the teacher provides to young children” and is combined with vocabulary such as play activity, free-choice activity, safety, and so on.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the sentences including the ‘play’ have teacher as a subject and causative verbs. In the discursive practice dimension, it was interpreted that the play discourse in the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reated as planned, selected, and evaluated one within the limited time and spaces. Additionally, there is a conventional belief about teaching the “whole child” and the institution evaluation as the catalyst of the belief. Finally, in the social practice dimension, it explained the teachers habitu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good instructor”, and revealed the link between the guides and the hegemony who having the power to write the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discussed what is being excluded in the “play” discourse, and made some suggestions about guides revis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