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아이돌보미의 직무열의 및 보육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childcare worker’s job engagement and childcare efficacy on their job satisfaction: Focused on the Busan area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직무열의, 보육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가정 내 아이돌봄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5개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현재 아이돌보미로 활동하고 있는 29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과 Tukey 방식의 사후검증,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이돌보미의 개인 특성인 주관적 삶의 질,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이유, 가족반응, 활동소득에서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열의와 보육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열의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육효능감 뿐만 아니라 직무열의를 높이는 방안도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job engagement and childcare efficacy on their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99 childcare workers who were working at fiv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 Busa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engagement and childcare efficacy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 WIN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hildcare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ubjective quality of life, subjective health status, reason for activity, family reaction income,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engagement, childcar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ird, job engagement affected the child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workers, ways to increase both job engagement and childcare 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