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The medit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on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flow and academic burnout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1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과 주관적 안녕감, 학업소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습몰입과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 있어 주관적 안녕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부산소재의 4년제 대학 2-4학년 596명이었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습몰입, 주관적 안녕감, 학업소진의 구조 및 경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학습몰입, 주관적 안녕감, 학업소진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습몰입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을 낮출 수 있는 방안으로 학습몰입과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flow,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burnout, and to examine whether subjective well-being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academic burnout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6 university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grade to fourth grade) in Busan;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0.0 programs, and we looked at the structure and path of learning flow,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burn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flow and academic burnou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2) subjective well-be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flow and academic burnout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burnout of these pre-service teachers may be reduced by improvements in learning flow and subjective well-being.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