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한 뒤,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부산과 경상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433명을 대상으로 SPSS 21.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교수몰입, 향유신념, 직무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을 검증한 결과에 따르면 교수몰입은 행복플로리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유신념은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고, 교수몰입은 직무만족도와 향유신념을 통하여 행복플로리시에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행복플로리시 증진을 위해 교수몰입을 높이도록 노력해야 하며,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한 유아교사의 긍정적인 경험에 주목하고 음미함으로써 즐거움을 강화하는 향유신념을 기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flourishing, teaching flow, savoring beliefs and job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33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and Gyongsangnam-do.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flourishing, teaching flow, savoring beliefs and job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to estimate the path from teaching flow to flourishing with mediating savoring belief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teaching flow had a direct effect on savoring beliefs, job satisfaction and flourishing. Teaching flow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flourishing, indic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avoring beliefs. The indices of the best fit model on these variables were adequate.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